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기 위한 첫 번째 수단 file
배우기 쉽고 운영체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고 이메일, 메신저로 보낼 수 있어
성능, 보안, 편의성에 한계가 있어
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가 database
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다루는 도구 칭구칭긔
MySQL, Oracle , SQL Server, PstgreSQL, MongoDB 등이 있어
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입력하고, 어떻게 출력할 것인가? - 본질
Input - 데이터의 Creat(생성), Update(수정), Delete(삭제)
Output - Read
CRUD가 핵심적인 작업이고, CRUD를 보좌하는 다른 기능들이 있는거야
File - Spreadsheet - Database
file보다 spreadsheet가 더 많은 데이터들을 구조적으로 저장했을 때,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이 더 쉬워짐
작성한 사람 중 한 사람의 데이터만을 보고 싶어 sorting할 때, 작성한 날짜를 오름차순으로 보고싶을 때, 내용을 숨긴 상태로 보고싶을 때 등등 파일 하나하나 저장하게 되면 일일이 꺼내봐야하는데, 스프레드시트(엑셀)로 저장하게 될 경우 우리는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어
자동화,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들이 갖고 있는 중대한 장점 (사람이 일일이 CRUD하지 않아도 방대한 양의 데이터 이용)
데이터베이스 랭킹 2021
1~4위 까지 모두 관계형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 절대강자!
relational DBMS 대표적으로 하나 배우고(Oracle, MySQL), 그 외 DBMS도 배워보자!(MongoDB)
Oracle - 관공서, 큰 기업, 금융에서 주로 사용
MySQL - 무료 & 오픈소스. 개인이나 작은 회사, SNS(대규모의 데이터가 생성되나 데이터의 신뢰성이 아주 중요하지 않은 곳)에서 주로 사용
MongoDB - 관계형DB 아니야!
원래 관계형 DB가 주로 사용되었으나, 관계형이 아닌 데이터들이 관계형DB에 사용되면 일종의 억압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2010년부터 NO SQL이라는 흐름이 생겨나게 되었고, 그 이후부터 여러 종류의 DB들이 생겨나고 성장하고 있따
'하다보면 되겠지 머.,. > 생활코딩_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TABASE2 - MySQL4 Relational DB (0) | 2021.10.09 |
---|---|
DATABASE2 - MySQL 3 (0) | 2021.10.09 |
DATABASE2 - MySQL 2 (0) | 2021.10.08 |
DATABASE 2 - MySQL 1 (0) | 2021.10.07 |